겨우리의 메모장/진중문고5 플라톤 「국가」(1) 자기계발서로서의 <국가> 자기계발서로서의 by. 겨우리 일단, 나 자신에게 칭찬부터 해줘야겠다. 2월 4일에 입대한 뒤, 지금까지 10권의 책을 읽었다. 2달 반 동안 10권이니까…. 1달에 4권 정도인 셈이다. 짝짝짝! #1 플라톤 에 얽힌 겨우리의 일화 내게 생애 첫 A 학점을 받게 해준 게 였다. 서병훈 교수님의 수업에서 나는 의 등장인물인 아데이만토스와 글라우콘, 트리쉬마코스의 대화를 상상해 중간고사 답안지를 작성했다. 플라톤의 문체를 모방했고, 트리쉬마코스가 주장한 ‘강자의 정의’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반박에 대한 재반박을 담았던 것 같다(뭐라 썼는지 다시 읽을 수 있거나, 기억이 잘 나면 좋겠는데…). 몇몇 기억에 남는 부분은 있다. 나는 플라톤을 반박하려고 들면서, 민중이 어쩌고, 교육 기회의 평등이 어쩌고, 누구나 .. 2020. 4. 15. 이전 1 2 다음